경기도가 도내 고교생의
소비생활 피해예방을 위해 ‘고교생 소비생활 피해예방 교육’을 실시한 결과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도내 67개교 학생 16,944명을 대상으로 ‘고교생 소비생활 피해예방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내용은 방문판매, 텔레마케팅, 다단계판매
피해사례, 관련 규정 및 주의할 점 등으로 구성됐다.
교육 실시 후 설문조사
결과, ‘교육만족도’는 ‘매우만족 436명(30.6%)’, ‘만족 485명(34.0%)’, ‘보통 478명(33.5%)’, ‘불만족
13명(0.1%)’, ‘매우 불만족 13명(0.1%)’ 등으로 불만족과 매우 불만족이 0.2%에 불과해 대체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한 점’으로는 ‘다양한
피해사례’가 419명(29.4%)으로 가장 많았고, ‘보완개선할 점’으로는 ‘참여기회 부여 530명(37.2%)’로 조사됐다. 특히 ‘향후
소비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1,240명(87.0%)이 ‘예’라고 응답했다.
소비자관련 규정에 관한
인지도를 보면, ‘민법상 미성년자 기준연령(만19세) 인지도’는 89.3%로 높았으나, ‘특수거래(방문, 전화권유, 다단계, 통신판매,
전자상거래 등)의 청약철회기간에 대한 인지도’는 50~70%대에 머물렀다. 특히 일반적인 소비생활에서 소비자가 일방적으로 철회할 수 있다고 잘못
알고 있는 학생이 68.9%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생활 피해경험’은
응답자 중 208명(13.6%)이 있었는데, 피해유형은 ‘품질불량’이 90명(43.3%)으로 가장 많았고, 피해를 입은 학생 중 ‘해결 못함’이
83명(39.9%)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소비자정보센터
관계자는 “앞으로 전문강사 양성과 교육영상물 제작을 통해 고교생 소비생활교육의 수준을 높여 갈 계획”이라며, “고교생, 대학신입생 등 미성년자의
소비생활 피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경기도 소비자정보센터(031-251-9898)에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사/단/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력 인정 받아도 고속 승진은 부담돼 (0) | 2015.01.22 |
---|---|
국가기관·지자체, 올해 정보화에 5조 투자 (0) | 2015.01.22 |
경기도 SNS기자단 ‘경기소셜락커’ 모집 (0) | 2015.01.21 |
전국 최초 ‘애견체험박물관’ 조성 (0) | 2015.01.20 |
유아만 전문 숲체험원 가평에 개장 (0) | 2015.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