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가평소식

관내 9개 기관, ‘복지허브화 협력 회의’ 가져

by PMN-박준규 2017. 3. 20.

복지 체감도 높이기 위해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키로

 

 



설악면 맞춤형복지팀이 효율적인 방문서비스 추진을 위해 관내 9개 기관 방문형 서비스 사업 담당자들과 머리를 맞댔다.

 

면은 17일 설악면행정복지센터 2층 대회의실에서 ‘민·관 방문형 서비스사업 기관 협력회의’를 갖고 각 기관별로 추진되고 있는 여러 유형의 방문형서비스 사업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는 보건소,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정신건강증진센터, 드림스타트,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국가보훈처 경기북부보훈지청, 청심국제병원까지 9개 기관 방문형 서비스 사업 담당자가 참석해 효율적인 대상자 지원 및 복합적 문제에 대한 공동지원을 위해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특히 복지대상자의 여건과 생활상의 여러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관별 지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방문형서비스 수행 담당자에 대한 대면조사 내용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주민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또 앞으로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대상자에 대해 공동방문하거나 기관 간 정보교류를 통해 보다 내실 있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해 간다는 계획이다.

 

방문형 서비스 사업이란 복지대상자의 여건과 생활상의 여러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대상자를 직접 찾아가서 돌봄, 의료 상담, 생활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노인돌봄서비스,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방문간호 등이 이에 해당된다.

 

설악면은 2016년 8월 신설된 ‘맞춤형복지팀’을 중심으로 여러 유형의 방문형서비스 사업의 협력 강화를 통해 취약가구에 대한 상시보호체계를 갖추고 복지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복지 체감도도 높여간다는 목표다.

 

이번 간담회 역시 복지허브화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 된 것으로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사안을 바탕으로 앞으로 기관 간 연계·협력체계를 강화해갈 계획이다.

 

임대원 설악면장은 “관내 주민들의 다양한 위기상황과 복지욕구에 맞는 복합적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형 서비스 기관간의 네트워킹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민·관 방문형서비스사업 연계협력회의와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지역주민들에게 양질의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