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사장 박명식, 이하 LX)가 그간 실험·시범사업*을 거쳐 드론측량의 효과를 입증하고 올해 그 활용을 대폭 확대한다.
* 실험사업(2016년 8개 지구), 시범사업(2017년 20개 지구) 후 드론활용 운영매뉴얼 제정(2017년)
LX는 각 지역본부별로 드론 전담조직을 신설(본부당 3명씩 배치) 한다.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드론 전담조직이 신설되는 것으로 4차 산업 흐름 하에서 신설된 조직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
국토조사 등에 특화된 전문교육기관 설립도 추진한다. 그간 전문교육기관*은 조종자격 위주로 교육했으나 LX는 공공기관으로서 드론활용 노하우를 기반으로 실제 업무에 적용 가능한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할 계획이다.
* 대학교·협회·제작업체 등이 항공법령에 따라 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 운용 중(총 22개)
인력과 조직뿐만 아니라 예산도 확대했다. 작년 말에는 국산드론 8대를 추가로 도입하였고 올해 12대를 추가로 구입해 총 52대 드론을 운용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드론 구매를 비롯해 플랫폼 고도화 및 기술개발에 총 1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인터넷 기반 플랫폼도 정비한다. 전국 지적도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국토정보 모니터링 플랫폼*’을 드론으로 촬영한 고품질 영상으로 고도화하여 상반기 중 정식 서비스(3월)할 예정이다.
* 국토 실태조사 등을 위해 국가·지자체 등이 발주하여 LX가 수탁하는 사업에서 촬영된 영상·사진자료를 클라우드 형태의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형태
국가·지자체 등이 실태조사 시 타 기관에서 촬영한 자료를 공유하게 됨에 따라 불필요한 실태조사가 줄어들어 예산의 절감과 인력활용 제고 등 효율적인 업무수행이 기대된다.
드론을 활용한 해외시장 진출도 눈여겨 볼만하다. LX는 우루과이의 ‘지적도 위치정확도 개선사업(약 65만불)’을 수행하면서 드론을 활용한 결과 지적도면의 정확도를 대폭 개선하였다.
* 지적도면의 도심지역은 5~10m, 농경지는 약 100~150m의 위치정확도가 향상
그 성과로 인근 중남미 국가에도 우수사례로 공유되고 있고 방글라데시·에티오피아·탄자니아 등에 진출도 도모하고 있다.
이처럼 LX가 드론을 국·내외에서 본격적으로 활용할 경우 드론시장은 연간 50억원*에 달하는 신규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내부의 업무효율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지적재조사)12억원, (국내 국토조사)27억원, (글로벌 사업)11억원
** (지적재조사)사업지구당 19개월→16개월(2인 1팀 기준), (국토조사)20일→5일(0.6 기준)
LX공사는 드론으로 촬영한 고품질 영상·사진을 기반으로 측량의 고급화·효율화를 이뤄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측량기술을 다듬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내비쳤다.
국토교통부는 LX의 우수활용 사례를 다른 공공분야에도 공유·확산하여 국민들이 삶 주변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드론 활용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국토교통부
'- 사/단/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설 연휴 귀향 지원 렌탈 이벤트 (0) | 2018.02.02 |
---|---|
후불상조, ‘존엄사 상담센터’ 개소 (0) | 2018.02.02 |
SK텔레콤, New ICT 도입해 음악 사업 진출 (0) | 2018.02.01 |
3월부터 주택연금 수령액 바껴... (0) | 2018.01.31 |
차세대 슈퍼컴퓨터용 ‘800GB Z-SSD’ 출시 (0) | 2018.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