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올해 추석 상여금으로 평균 80만1105원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남녀 직장인
655명을 대상으로 <추석 상여금>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에게 재직 중인 회사에서 추석 상여를 지급하는지에 대해 질문했다. 그러자 직장인 51.1%는 ‘그렇다’고 답했으며, 48.9%는
‘지급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은 추석 상여를 ‘받는다(44.8%)’고 답한 이들보다 ‘받지 못한다(55.2%)’고
답한 이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 중인 회사에서 추석
상여로 무엇을 지급하는지를 묻자 ‘상여금’을 받는다고 답한 직장인이 63.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추석 선물’이 34.9%로 그 뒤를
이었다. 나머지 1.5%의 응답자는 상여금과 추석 선물을 모두 받는다고 답했다.
이들 직장인들이 받는 올해
추석 상여금(*개방형 질문)은 평균 80만1105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평균 138만7667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공기업(81만5151원)’, ‘중견기업(74만2963원)’, ‘중소기업(56만7870원)’, ‘외국계기업(49만1875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명절 상여가 충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부족하다’는 답변이 60.3%로 가장 높았고, ‘보통이다’가 30.8%로 그 뒤를 이었다. 명절 상여가 ‘충분하다’는 답변은
8.9%에 그쳤다.
한편,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올해 추석 연휴에 적용되는 대체휴무제로 유급휴가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에게
재직 중인 회사에서 올해 추석 연휴 대체휴무제를 시행하는지를 묻자 62.1%가 ‘그렇다’고 답한 것. 대체휴무제를 시행하지 않는다고 답한 이들은
37.9%였다.
대체휴무제를 시행하지 않는
이유로는 △일반 기업의 경우 의무 사항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1.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업자의 경영방침으로 인해’가
22.2%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업무가 바빠서(18.1%)’, ‘회사사정이 좋지 못해서(6.0%)’ 등의 의견이 있었다.
자료제공: 잡코리아
'- 사/단/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전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수 4.3배 (0) | 2015.09.14 |
---|---|
9월 정기분 재산세 2조770억 원 부과 (0) | 2015.09.11 |
산업부, 1,850억 원 규모의 투자펀드 조성 (0) | 2015.09.11 |
대학 4학년 42% `졸업 연기할 것` (0) | 2015.09.10 |
..경남지부, 기능취득센터 개청식 (0) | 2015.09.10 |
댓글